중고차를 구매하면 과세표준에 따라 취등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중고차를 구매할 때 구입가격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하지만 구입가격 표시가 없거나 시가표준액보다 적은경우 시가표준액으로 과세표준을 정합니다. 따라서 중고차를 구매하기 전에 중고차 과세표준을 아는 것이 좋습니다.
※ 중고차 취등록세를 줄이기 위한 꿀팁도 소개하오니, 끝까지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인기글 🔽 |
자동차등록증 재발급 동사무소, 인터넷 출력 2가지 방법 알아보기 |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대상, 신청방법, 지급일 -‘지금’ 신청하세요! (예산 한도 내 지원) |
한국캐피탈 초간편 소액론 후기 및 신청조건, 무직자도 99% 대출 가능 |
2023년 중고차 과세표준
과세표준이란 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물건의 기준 금액을 말합니다.
※ 산출세액 = 과세표준 × 법정세율 ※ 자동차 취등록세 법정세율은 7% 입니다. |
중고차를 구매하면 취득세를 산정하는 기준으로 중고차 구매한 신고가액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하지만 신고가액 표시가 없거나 시가표준액보다 적은 경우에는 시가표준액을 과세표준으로 정합니다.
2023년 중고차 과세표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고차 신고가액(1,000만원) > 시가표준액(900만원) : 중고차 신고가액이 과세표준
- 중고차 신고가액(900만원) < 시가표준액(1,000만원) : 중고차 시가표준액이 과세표준
따라서, ‘신고가액’과 ‘시가표준액’ 중 높은 가격이 세금을 산출할 때의 기준이 됩니다.
중고차 시가표준액 조회
시가표준액은 취득세 또는 재산세등 과세표준이 되는 물건의 가액입니다.
앞에도 설명했듯이, 중고차의 취등록세는 중고차 신고가액보다 시가표준액이 더 높은 경우는 시가표준액을 기준으로 정합니다.
따라서, 2023년 중고차 과세표준을 계산하기 위해서 시가표준액을 조회해봐야 합니다.
2023년 중고차 시가표준액은 ‘홈택스’ 사이트 접속을 통해 가능합니다.
시가표준액 조회 바로가기
1. [승용차 가액 조회] 검색
메인화면에서 ‘승용차 가액 조회’를 검색합니다.
2. 승용차명, 형식번호를 입력 후 조회
자동차명(제작사명)과 자동차등록증에 나와 있는 형식번호를 입력 후 [조회하기] 선택합니다.
자동차등록증 형식번호를 모르는 경우는 자동차명만 입력해도 대략 기준가격을 알 수 있습니다.
저는 기아자동차 ‘레이’를 입력하여 조회해보았습니다.
3. 승용차 제작년도 입력
제작년도를 입력하면 잔가율을 통해 자동차 시가표준액을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기아 레이차 2016년 제작년도로 입력하였습니다.
4. 중고차 시가표준액 계산히기
계산하기를 누르면 승용차 가액이 계산됩니다. 중고차 시가표준액(가액)은 기준가격에 경과 연수별 잔가율을 곱합니다.
2023년 중고차 잔가율은 아래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2023년 중고차 잔가율
중고차 잔가율이란 중고차를 사용한 연수를 통해 가치를 일정비율로 나타낸 잔존 가치율을 말합니다.
|
2023년 중고차 잔가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023년 승용차 잔가율
구분 | 1년미만 | 1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국산차 | 0.826 | 0.725 | 0.614 | 0.518 | 0.437 | 0.368 | 0.311 | 0.262 | 0.221 |
외제차 | 0.842 | 0.729 | 0.605 | 0.500 | 0.412 | 0.340 | 0.281 | 0.232 | 0.191 |
2. 2023년 승합, 화물차 잔가율
구분 | 1년미만 | 1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승합차 | 0.810 | 0.726 | 0.609 | 0.510 | 0.426 | 0.357 | 0.298 | 0.250 | 0.215 |
화물차 | 0.761 | 0.671 | 0.597 | 0.510 | 0.426 | 0.357 | 0.298 | 0.259 | 0.229 |
경과연수별 잔가율을 1년부터 8년까지 정리하였습니다. 국산차가 외제차보다 잔가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과거를 살펴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큰 폭은 아니지만 잔가율은 조금씩 상향되었습니다
2023년 중고차 과세표준 계산 예시
중고차 구매한 가격이 시가표준액보다 낮은 경우 시가표준액을 과세표준으로 한다는건 아시죠?^^
그럼, 중고차를 구매하기전 시가표준액을 계산하면 중고차 취등록세를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고액의 차량을 구매하면 취등록세도 몇백만원으로 만만치 않기 때문에 미리 계산해보는걸 추천합니다.
2023년 기준 2020년 BMW 520i 외제차를 구매한다면, 차량구입가격에 경과기간 3년 외제차 잔가율인 0.5를 곱하여 시가표준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시가표준액에 7% 취등록세를 납부해야 하므로 결론적으로 약 172만원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
또한, 중고차를 구매할 때 꿀팁은 연말보다는 다음해 초에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잔가율이 낮아짐에 따라 시가표준액이 줄어 들어 세금을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연초에 구매했을 때, 약 30만원의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결론
2023년 중고차 과세표준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중고차를 구매하기 전에 시가표준액을 계산해보면 예상 취등록세를 알 수 있으며, 시가표준액보다 조금 낮은 거래가액을 작성함으로써 취등록세를 아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고차 구매하기 전에 과세표준을 알기 위해 시가표준액 확인해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중고차를 구매할 때 세금을 줄이기 위해서 연말보다는 연초에 사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 1분만 읽어도 생활이 편리해지는 글 >
국민취업제도 구직촉진수당 받는 방법 알아보기(최소 300만원)
특례보금자리론 조건 및 금리 (연 4%대 고정금리) : 부동산 최고의 대출
저작권자 명의 허가 없이 복사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