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 이직확인서 없으면 못받나요? 피보험자 이직확인서 작성해서 받을 수 있어요!

이직확인서는 회사를 그만둔 후 피보험자격상실 및 퇴사처리를 하는 것입니다. 이직확인서는 실업급여를 받기위해 기본적인 서류입니다.

실업급여 이직확인서 없으면 못받는지 궁금하신가요?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이직확인서 없어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피보험자 이직확인서’를 작성해서 고용센터에 제출하면 됩니다.

※ 피보험자 이직확인서 작성방법은 아래 자세히 나와있으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인기글 🔽
◊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 방법
◊ 이직확인서 처리 안해줄때 발급 방법

 

 

이직확인서란?

이직확인서는 직장을 퇴사할 때 작성하며 퇴직일, 퇴직사유 뿐 아니라 급여내역, 퇴직금, 피보험 단위기간 등의 정보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퇴직하고 난 후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이직확인서가 필요합니다.

혹시, 회사에서 이직확인서 처리를 안해주시나요?

이직확인서를 요청 시 회사에서는 10일 이내 발급해줘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과태료 부과 대상이라 대부분 회사에서 기한내에 발급을 해줍니다.

하지만, 회사에서 이직확인서 처리 안해줄때 발급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 포스팅을 읽어보시고 실업급여 혜택 누리시길 바랍니다.

이직확인서 처리 안해줄때 발급 방법 알아보기(클릭)

그래도 이직확인서 처리를 안해준다고 해도 걱정하지마세요. 이직확인서 없어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 글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실업급여 이직확인서 없으면 못받나요?

실업급여 이직확인서 없으면 못받는지 궁금하신가요?

결론적으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직확인서는 고용센터에서 요청하는경우 제출의무가 있는 것이지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빨리 실업급여를 받고 싶은데 이직확인서를 회사로부터 제출받지 못한 경우나, 회사에 연락하기 껄끄러워 발급 요청을 못했다면 ‘피보험자 이직확인서’를 작성해서 고용보험센터에 제출해주세요.

 

피보험자 이직확인서 작성방법

피보험자 이직확인서를 제출하는 방법은 직접 서류를 작성해서 고용센터에 제출하거나 온라인으로 작성하여 제출할 수 있습니다.



1. 피보험자 이직확인서 제출

본인이 ‘피보험자 이직확인서를 작성해서 직접 ‘고용보험’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아래 ‘피보험자 이직확인서’를 다운받아 작성해주세요.

피보험자 이직확인서 파일 다운로드

피보험자 이직확인서 파일 다운로드 (일용근로자용)

 

(1) 사업장 / 피보험자 관련 인적사항 작성

입사일과 퇴사일도 입력합니다.

 

(2) 이직코드 및 이직사유를 작성

이직사유는 퇴직사유로 고용보험 상실사유와 동일하게 적습니다.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이 부분이 중요합니다.

자진퇴사의 경우 실업급여의 대상이 아니며 회사사정과 근로자 귀책사유나 기간말료에 의한 이직인 경우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 허위로 작성하면 과태료 대상이니 참고하세요.

  • 자진퇴사 : 11(개인사정으로 퇴사), 12(사업장 이전, 임금체불 등으로 자진퇴사)
  • 회사사정과 근로자 귀책사유에 의한 이직 : 22(폐업, 도산), 23(인원감축), 26(권고사직)
  • 정년 등 기간말료에 의한 이직 : 31(정년), 32(계약기간 만료, 공사 종료)
  • 기타 : 41(고용보험 비적용), 42(이중고용)

 

(3) 피보험단위기간과 3개월 평균 임금 산정명세 작성

피보험 단위기간과 3개월 임금을 작성합니다.

 

처음 작성하시면, 어디를 작성해야 하나 헷갈리실 수 있습니다. 아래 빨간색 칸만 입력해서 고용센터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실업급여 이직확인서 없으면 ‘피보험자 이직확인서’를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피보험자 이직확인서 작성방법

 

 

2. ‘고용산재토탈 사이트’ 온라인 제출

‘고용산재토탈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직확인서 작성탭에서 직접 작성하여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1) 고용산재토탈 사이트에 접속

고용산재토탈사이트 바로가기
 

 

(2) 피보험자 이직확인 작성

메인 메뉴에서 [민원접수/신고] → [자격관리]  → [피보험자 자격확인]을 클릭합니다.

피보험자 이직확인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사업자관리번호와 이직자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조회하면 본인의 입사일, 퇴사일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피보험자 이직확인서 온라인 작성방법

 

(3) 이직사유 작성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이직사유가 가장 중요합니다. 권고사직, 계약완료 등 피치못할 사정으로 그만둔 경우만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도 허위로 작성한 경우 과태료 부과대상이므로 참고하세요.

 

3. 이직확인서 작성 시 주의사항

(1) 상실신고 처리가 먼저 선행되야 이직확인서 작성이 가능합니다.

회사를 그만둔다는 상실신고가 먼저 제출되야 합니다.

 

(2) 이직사유와 상실신고 사유가 동일해야 합니다.

상실사유가 잘못 작성되었거나 이직확인서의 이직사유가 잘못 작성된 경우 과태료 부과대상이니 꼭 동일하게 작성해주세요.

 

결론

실업급여 이직확인서 없으면 못받을까봐 걱정되셨던 마음 한결 편안해지셨나요.

이직확인서 없어도 피보험자 이직확인서를 작성해서 고용센터에 제출하면 됩니다.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직접 작성해서 제출해도 되고 온라인을 통해서도 제출할 수 있습니다. 편한 방법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피보험자 이직확인서를 작성할 때 가장 주의할 점은 상실사유와 이직확인서의 이직사유가 동일해야 합니다. 위의 내용을 참고하셔서 실업급여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

 

< 1분만 읽어도 생활이 편리해지는 글 >

실손보험 꼭 필요한가? 가입 꿀팁 5가지 / 실손보험과 실비보험 차이 알아보기

갤캠스 쿠폰 받는법: 갤럭시 제품 싸게 싸는 꿀팁

카카오뱅크 토스 대환대출 비교: 금리 저렴한 대출로 갈아타기 성공!

(c) 모든글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를 받습니다.
저작권자 명의 허가 없이 복사할 수 없습니다.

 

Leave a Comment